위치 : 백운산 좌벽 및 중앙벽은 "경남 밀양시 남명리"에 위치한다. 밀양 얼음골과 호박소로 더 잘알려진 이곳은 산악인들 사이에
백운슬랩으로 더 알려져 있다.
# 울산경주 방면: 경부고속도로→ 언양 IC→ 24국도→ 석남터널→ 얼음골 입구→ 구도로 이용
대구 방면: 밀양IC→ 금곳사거리→ 산내면사무소→ 산내면 남명삼거리→ 구도로 이용→ 백운산
# 주 차 : "부산칼국수집" 근처의 비포장 공터는 사유지로 이곳에 주차시 주인에게 양해를 구해 건너편 갓길에 주차하는 것이 좋다
# 식 수 : 부산집 입구에 가게에서 사비를 들여 호박소에서 끌어온 수도이므로 깨끗이 사용, 특히 설거지 금지
찾아가는길 : 울산이나 부산에서 출발하면 언양석남사를 지나 가지산 터널이 새로이 뚫려 접근시간이 많이 짧아졌다.
언양방향으로 올 경우 새로난 24번 4차선 국도를 따라 새로난 가지산터널을 지나 얼음골 검문소에서 우회전하여 구도로 5분여
오르면 넓은 공터와 우측에 "부산집" 칼국수 집이 보인다. 호박소에서 왼편에 큰 공터가 있고 여기가 백운슬랩주차장
[산내면 남명삼거리→구도로 이용 (2.6km) 지점] 길옆 오른편에 큰 슬랩이 보이고(우벽) 왼편 위쪽이 좌벽이다.
2~3분 걸어 내려가면 "숨은벽 표지판" 보이고 여기서 30~40분 걸어 올라야 숨은벽에 갈 수있다.
◀ 좌벽 전경...
1피치 (5.8, 25m. 고정볼트 1개)
좌벽 왼쪽 끝지점에서 시작된다. 바위에 흰 페인트
로 스타트지점이 표시되어 있다.
첫 스타트가 약간 미끄러운 듯 하지만 어렵지 않게
올라설 수 있고 첫 볼트에 줄을 걸고 나면 양호가
홀드라 쉽게 오를 수 있다.
쌍볼트에 확보를 하면된다.
1피치 환희길 전경
2피치 (5.8, 25m. 고정볼트 2개)
3피치 (10a, 20m. 고정볼트 3개)
페이스 및 크랙으로 이어진 구간인데 첫 확보물
은 소나무를 이용하여 오른 후 5 .10a급의 페이스
를 넘어서면 쉬운 크랙을 지나 쌍볼트에 확보 하면
된다.
5피치 (5.9, 20m. 고정볼트 2개)
수 있다.
확보물에서 직상하면 된다.
◀ 꿈꾸는 소나무리지 끝나는 지점에서 본
2.암장루트
암장 코스명 길이 최고난이도 경사도 기타 17m 5.11a 80~85도 30m 5.10d 70~80도 25m 5.10c 75~80도 59m 5.8 65~75도 35m 5.7 65~80도 35m 5.8 60~90도
암장 |
코스명 |
길이 |
최고난이도 |
경사도 |
기타 |
31m |
5.8 |
60~70도 |
|||
35m |
5.9 |
60~70도 | |||
35m |
5.10b |
60~75도 | |||
35m |
5.10c |
60~75도 |
|||
32m |
5.9 |
55~70도 |
|||
32m |
5.10b |
50~65도 |
|||
33m |
5.7 |
50~60도 |
위치 : 백운산 좌벽 및 중앙벽은 "경남 밀양시 남명리"에 위치한다. 밀양 얼음골과 호박소로 더 잘알려진 이곳은 산악인들 사이에
백운슬랩으로 더 알려져 있다.
# 울산경주 방면: 경부고속도로→ 언양 IC→ 24국도→ 석남터널→ 얼음골 입구→ 구도로 이용
대구 방면: 밀양IC→ 금곳사거리→ 산내면사무소→ 산내면 남명삼거리→ 구도로 이용→ 백운산
# 주 차 : "부산칼국수집" 근처의 비포장 공터는 사유지로 이곳에 주차시 주인에게 양해를 구해 건너편 갓길에 주차하는 것이 좋다
# 식 수 : 부산집 입구에 가게에서 사비를 들여 호박소에서 끌어온 수도이므로 깨끗이 사용, 특히 설거지 금지
위치 : 백운산 좌벽 및 중앙벽은 "경남 밀양시 남명리"에 위치한다. 밀양 얼음골과 호박소로 더 잘알려진 이곳은 산악인들 사이에
백운슬랩으로 더 알려져 있다.
# 울산경주 방면: 경부고속도로→ 언양 IC→ 24국도→ 석남터널→ 얼음골 입구→ 구도로 이용
대구 방면: 밀양IC→ 금곳사거리→ 산내면사무소→ 산내면 남명삼거리→ 구도로 이용→ 백운산
# 주 차 : "부산칼국수집" 근처의 비포장 공터는 사유지로 이곳에 주차시 주인에게 양해를 구해 건너편 갓길에 주차하는 것이 좋다
# 식 수 : 부산집 입구에 가게에서 사비를 들여 호박소에서 끌어온 수도이므로 깨끗이 사용, 특히 설거지 금지
찾아가는길 : 울산이나 부산에서 출발하면 언양석남사를 지나 가지산 터널이 새로이 뚫려 접근시간이 많이 짧아졌다.
언양방향으로 올 경우 새로난 24번 4차선 국도를 따라 새로난 가지산터널을 지나 얼음골 검문소에서 우회전하여 구도로 5분여
오르면 넓은 공터와 우측에 "부산집" 칼국수 집이 보인다. 호박소에서 왼편에 큰 공터가 있고 여기가 백운슬랩주차장
[산내면 남명삼거리→구도로 이용 (2.6km) 지점] 길옆 오른편에 큰 슬랩이 보이고(우벽) 왼편 위쪽이 좌벽이다.
2~3분 걸어 내려가면 "숨은벽 표지판" 보이고 여기서 30~40분 걸어 올라야 숨은벽에 갈 수있다.
◀ 좌벽 전경...
1피치 (5.8, 25m. 고정볼트 1개)
좌벽 왼쪽 끝지점에서 시작된다. 바위에 흰 페인트
로 스타트지점이 표시되어 있다.
첫 스타트가 약간 미끄러운 듯 하지만 어렵지 않게
올라설 수 있고 첫 볼트에 줄을 걸고 나면 양호가
홀드라 쉽게 오를 수 있다.
쌍볼트에 확보를 하면된다.
1피치 환희길 전경
2피치 (5.8, 25m. 고정볼트 2개)
3피치 (10a, 20m. 고정볼트 3개)
페이스 및 크랙으로 이어진 구간인데 첫 확보물
은 소나무를 이용하여 오른 후 5 .10a급의 페이스
를 넘어서면 쉬운 크랙을 지나 쌍볼트에 확보 하면
된다.
5피치 (5.9, 20m. 고정볼트 2개)
수 있다.
확보물에서 직상하면 된다.
◀ 꿈꾸는 소나무리지 끝나는 지점에서 본
2.암장루트
암장 코스명 길이 최고난이도 경사도 기타 17m 5.11a 80~85도 30m 5.10d 70~80도 25m 5.10c 75~80도 59m 5.8 65~75도 35m 5.7 65~80도 35m 5.8 60~90도
암장 |
코스명 |
길이 |
최고난이도 |
경사도 |
기타 |
31m |
5.8 |
60~70도 |
|||
35m |
5.9 |
60~70도 | |||
35m |
5.10b |
60~75도 | |||
35m |
5.10c |
60~75도 |
|||
32m |
5.9 |
55~70도 |
|||
32m |
5.10b |
50~65도 |
|||
33m |
5.7 |
50~60도 |
찾아가는길 : 울산이나 부산에서 출발하면 언양석남사를 지나 가지산 터널이 새로이 뚫려 접근시간이 많이 짧아졌다.
언양방향으로 올 경우 새로난 24번 4차선 국도를 따라 새로난 가지산터널을 지나 얼음골 검문소에서 우회전하여 구도로 5분여
오르면 넓은 공터와 우측에 "부산집" 칼국수 집이 보인다. 호박소에서 왼편에 큰 공터가 있고 여기가 백운슬랩주차장
[산내면 남명삼거리→구도로 이용 (2.6km) 지점] 길옆 오른편에 큰 슬랩이 보이고(우벽) 왼편 위쪽이 좌벽이다.
2~3분 걸어 내려가면 "숨은벽 표지판" 보이고 여기서 30~40분 걸어 올라야 숨은벽에 갈 수있다.
◀ 좌벽 전경...
1피치 (5.8, 25m. 고정볼트 1개)
좌벽 왼쪽 끝지점에서 시작된다. 바위에 흰 페인트
로 스타트지점이 표시되어 있다.
첫 스타트가 약간 미끄러운 듯 하지만 어렵지 않게
올라설 수 있고 첫 볼트에 줄을 걸고 나면 양호가
홀드라 쉽게 오를 수 있다.
쌍볼트에 확보를 하면된다.
1피치 환희길 전경
2피치 (5.8, 25m. 고정볼트 2개)
3피치 (10a, 20m. 고정볼트 3개)
페이스 및 크랙으로 이어진 구간인데 첫 확보물
은 소나무를 이용하여 오른 후 5 .10a급의 페이스
를 넘어서면 쉬운 크랙을 지나 쌍볼트에 확보 하면
된다.
5피치 (5.9, 20m. 고정볼트 2개)
수 있다.
확보물에서 직상하면 된다.
◀ 꿈꾸는 소나무리지 끝나는 지점에서 본
2.암장루트
암장 코스명 길이 최고난이도 경사도 기타 17m 5.11a 80~85도 30m 5.10d 70~80도 25m 5.10c 75~80도 59m 5.8 65~75도 35m 5.7 65~80도 35m 5.8 60~90도
암장 |
코스명 |
길이 |
최고난이도 |
경사도 |
기타 |
31m |
5.8 |
60~70도 |
|||
35m |
5.9 |
60~70도 | |||
35m |
5.10b |
60~75도 | |||
35m |
5.10c |
60~75도 |
|||
32m |
5.9 |
55~70도 |
|||
32m |
5.10b |
50~65도 |
|||
33m |
5.7 |
50~60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