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자료/서울,경기

용화산 새남바위

용화산(龍華山) 새남바위

춘천과 화천의 경게에 있는 용화산(龍華山)은 지내와 뱀이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昇天)했다는 비상(飛上)의 전설을 간직한 산이다.
승천의 의미는 하늘로 오른다는 뜻 외에도 단계와 차원의 상승을 의미한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 산이 품고 있는 새남바위의 대천장 루트, ‘용화산의 전설’ 이를 체험하려는 클라이머들에게는 등용문 같은 코스다.

새남바위는 "새가난다" 는 뜻을지닌 웅장한 바위다.

새남바위는 춘천과 화천 경계의 용화산(874.4m)에 있는 높이 120m, 폭 150m 화강암벽이다.
완경사에서 오버행까지 다양한 각도의 크랙과 슬랩으로 이루어져있다.
1972년 5월 ‘새남A’ 강원대산악부 개척했고, 타이탄산악회 ‘거인길’ ‘천장길’ 등을 초등했다.
그리고 1995년에는 봔트클럽에서 루트 재보수와 ‘거인길’ 3피치 좌측의 대천장에 ‘용화산의 전설’을 개척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강원대 산악회에서 부분적인 보수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많은 루트들의 확보물이 노후 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클라이머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이곳 새남바위 청룡길.매길.마담길.사잇길.새남A.노란잠수함.등 총 10개의 루트가 개척되어 있으며

옆에 있는 장수바위에는 곰길.여우길.장수길.찬란한고독.맘모스크랙.등 총 5개의루트가 개척되어 있다.

새남바위 부근에는 식수가 없으며 고개 마루 주변 야영터에서 준비 해야한다.

 새남바위는 크랙과 슬랩 위주의 코스로 확보물이 낡은 곳이 많아 캠 장비가 꼭 필요하다.

 

소요장비 : 2인1조 기준. 자일 2동과 캠 1세트, 퀵드로 다수, 슬링 등이 필요하다.

주의사항 노후 된 확보물이 많아 등반 중 불안하면 캠과 기타의 장비로 확보물을 보강한다.

일부 루트는 낙석의 위험이 있어 헬멧을 꼭 착용하자.

 

용화산 새남,장수바위 루트개념도(▲)

 

용화산 새남바위 '거인길'

루트이름 : 거인길(5.10a)
등반길이 : 125m 총 4피치
등반장비 : 퀵드로 8개, 프렌드 1조, 로프 60m1동, (2인1조)
개척자 : 타이탄 산악회 (1972년)


새남바위를 바라볼 때 상단 의 오버행 바로 우측으로 연결된다.

출발 지점은 바위밑의 공터에서 시작되며 약간 우측으로 뉘어진 크랙이 처음부터 시작된다.
길이 125m총 4피치로 구분된다. 암장 아래 공터 앞에서 시작되며 이곳 새남 바위에서 가장 인기있는 대중적인 루트다.
전구간이 크랙인 이루트는 우선 루트가 깔끔 하고 크랙이 한눈에 보인다.

경사는 70∼80도 정도로 중급자 정도면 오를 수 있다.

 

◇ ◇ ◇ ◇ ◇

 

제1피치(5.8-5.11a) 35m

 

크랙으로 시작되며 약8m의 좌향 크랙을 밀고 당기는 자세로 오른뒤 가파른 슬랩까지 도착한다

기존길은 볼트3-4개를 통과해 우향크랙을 8m쯤오르면 쌍볼트가 나온다.

또한 변형길은 크랙우측 짧은 직상코스와 우측 소나무옆 긴 직상코스 2개가 있다.

자유등반과 인공을 이용해 오를수 있다.

 

 

 

제2피치(5.9) 40m

 

가파른 슬랩을 3-4m오른뒤 손가락이 적당히 들어가는 크랙을 따라 숲지대 있는곳까지 가게 된다.
경사도 완만하고 크랙의 상태가 양호해 레이백이나 밀고 당기기를 한다면 쉽게 오를 수 있다.
크랙이 끝나면 나무와 풀숲이 있는 완경사 바로밑으로 쌍볼트가 있다.

 

 

 

 

제3피치 (5.10a) 30m

 잡목지대를 통과해 오버행 천장 우측으로 반침니를 따라 오르게 되며 이루트의 가장 어려운 구간이다.
사람이 겨우 들어갈 수 있는 반침니(약8m)인데 중간에 하켄2개와 볼트 1개가 있는데 보기와는 달리 꿰 까다롭다.
이곳을 올라서면 천장 바로 옆에 쌍볼트에서 피치를 끊는다.

 

 

 

(▲)3피치 크럭스인 반침니구간 (확보점에서 내려다본 침니라인)

 

 

제4피치(5.7) 15m

양호한 크랙구간이다.
이곳은 좌측부분의 오버행 "용화산의 전설"의 확보 지점이며 우측의 비교적 넓은 크랙을 따라 오르면 정상이다.
이곳에서 하강이 가능하지만 3피치 크랙부분에 자일이 걸릴수 있고 등반자에게 낙석과 등반을 방해할수있어 피하는게 좋다

하강은 일반등산로 주전자바위 가기전  좌측에 쌍볼트가 있고 2피치까지 50m 하강후 한번더 60m하강 하면 안부다.

 

 

 

 

 

용화산 새남바위'용화산의 전설'

루트이름 : 용화산의 전설(5.11b)
등반길이 : 22m 1피치
등반장비 : 로프50m1동, 퀵드로 10개
개척자 : 1996년, 서울 봔트 클럽


출발은 정상  늙은 소나무 옆 쌍볼트에서 20여m하강을 해서 등반을 할 수 있으며,

 아래 안부에서 출발하는 거인길로 올라 마지막 피치 상단부 삼각형 대형 크랙이 용화산의 전설 이다.
1996년 서울 봔트 클럽에서 개척한 루트다.

이길은 거인길의 마지막 피치 좌측의 천장을 넘어가는 루트다.

 예전에 하켄과 볼트를 이용하여 올랐던 루트 이지만 볼트나 하켄등 이 노후되어 불가능한 상태였는데 다시 약간의 변형을 하여 새 볼트를 설치하여 개척한 루트다.

천장을 오른쪽으로 약10여m 정도 트레버스 한다음 위쪽으로 넘어가는 루트다. 등반길이 22m이며 한 피치로 끝난다,

 

크랙의 상태는 양호하다. 각진 구들장같은 바위가 겹겹이 쌓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손이 들어갈 정도의 적당한 크랙이 형성되어 있어

지구력과 힘만 있다면 별문제 없이 오를 수 있다.

계속해서 10여m옆으로 트레버스 하면서 한손으로 메달려 퀵드로를 걸고 나가야 하기 때문에 지구력을 많이 요구하지만

 발디딤이 어느 정도 양호해 크게 어려운 부분 없이 오를 수 있다.

하지만 천장을 이동하다 떨어지면 허공으로 메달리기 때문에 바위로 접근이 않되기 때문에 쥬마링 이나 프리지크를 하여 오를 수 있는 슬링을 준비 해야한다.

오버행 천장을 넘어서면 미세한 크랙이 약 4m쯤 이어지다 슬랩으로 연결되는데 쉽게 오를 수 있다.

이루트는 고도감과 지구력 근력등을 강력히 요구하는 루트로서 짧으면서도 최대의 힘을 사용 할 수 있어 재미있는 루트다.

 

 

 

'등반자료 >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봉산 검악Tㅡ오버행  (0) 2014.07.23
소리산 삼형제바위  (0) 2014.07.22
북한산 형제길  (0) 2012.11.06
관악산암장  (0) 2012.06.22
인수봉 구조대리지  (0) 201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