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암장
북면 천부동에 위치한 송곳봉은 해발 약 430m로 등반길이는 500여m
에 이르는 우리나라 최대의 거벽이다. 오랜 풍화작용으로 암질이 다소
약한 편이나 낙석들을 제거하고 다듬는다면 거벽 등반 훈련지로서 손
색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1978년 8월 왕골산악회의 손칠규·박우규씨가 북동벽으로 자연스러운
선을 따라 약 10피치(등반길이 410m)의 ‘왕골루트’를 초등했다.
그 후 울릉산악회는 이 루트로 여러 번 등반한 다음 1994년 남동벽 좌
측면의 스크리(잡석)지대를 따라 오르다 좌측벽으로 진입, 정상에 이
르는 약 10피치의 루트를 개척하였다.
그 여러해 전 고 신상만 악우(98년 탈라이사가르 북벽 등반 중 사망)가 북벽의 중앙벽으로 개척을 시도했으나 장비 부족으로
단념한 적이 있다.
이 봉은 해외 대암벽 등반을 추구하는 우리나라 등반가들에게는 최상의 훈련지로서 거벽장비 사용뿐만 아니라 짐 끌어올리
기, 포타레지를 이용한 비박 등의 훈련을 할 수 있는 거벽이다.
송곳봉은 북벽을 위시하여 북동벽, 북서벽, 남동벽 등에 수많은 루트를 개척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도동에서 사동고개를 넘어 남양을 지나 험준한 태하령 고개를 넘어선 다음 천부동을 지
나 선창에 도착하면 장군수라고 부르는 석간수가 풍부하게 나오는 암벽이 병풍처럼 뻗
어 있다. 이곳이 바로 장군바위다. 울릉도에 산재한 암벽 중 가장 암질이 단단하고 그
형태도 다양해 현재 7 개의 루트가 개척되어 있으나, 앞으로도 루트가 수 없이 개척될
수 있는 암벽이다.
양호한 암질에 병풍처럼 펼쳐진데다 올 가을 섬 일주도로가 완공, 개통되면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7월 중순 현재까지는 이곳에 접근하려면 도동항에서 섬목까지 선박을 이용 하거나 차량
1시간 가량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도동항에서 동백호 선편을 이용, 섬목에서 하선한 후 버스
를 타고 5분 가량 가다가 선창에서 내리면 좌측으로 높이
70여m, 폭 100여m의 암벽이 펼쳐진다. 맞은편 앞바다에
는 삼선암 중 2개의 암벽 인 어미바위와 아비바위가 나란
히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개척되어 있는 루 트들은 대부분 한 피치 루트로 등반
길이는 약 25m인데, 세 피치로 루트를 연장할 수 도 있다.
ㅁ 국수산 암벽
남양 도로변에서 우측 마을로 5분 정도 진입하다 보면 마치 미국의 데블스타워처럼 수
많은 수직크랙을 나 있는 절리층의 암벽을 볼 수 있다.
국수산의 이 주상절리 암벽은 높이 약 60m, 넓이 150m의 거벽에 크랙이 수없이 형성돼
있는 돌기둥 형태의 암벽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오르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등반을 위해서는 낙석 제거와 필요하다.
도동에서 저동재를 넘어서면 저동항이 나오고,
이 항구를 지나 내수전 방향 으로 가다보면
화물터미널이 나온다. 이곳을 끼고 좌측으로
진입해 오르면 비포장도로가 나오는데, 이 도
로 좌측의 삼나무숲으로 5분 정도 걸어 들어
가면 좌측 산쪽으로 약 25m 높이의 폭포를
볼 수 있다. 이 폭포가 있는 암벽이 용바위다.
대부분 택시로 이용해 접근(5,000원 정도).
울릉산악회가 가장 먼저 개척한 용바위 루트
들은 전형적인 페이스의 자유등반루트로, 비교적 홀드가 작고 숨어 있어서 등반이 매우 까다로운 편이며, 육지의 암질과 비
슷하다. 숲이 울창해 시원한 그늘과 옆으로 폭포수가 시원스럽게 쏟아져 피서철 등반지로 제격이다. 식수도 풍부 해 아늑하
게 야영을 즐길 수 있다.
도동항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위치한 약수공원은 풍부한 미네랄과 철분으 로 마치
사이다를 마시는 듯한 맛을 내는 울릉도에서 자랑하는 대표적인 약수다.
이 공원 안에 높이 13m, 폭 12m의 거대한 인공벽이 7월19일에 준공됐다.
암장은 아트클라이밍에서 발주를 받아 FRP패널과 철골을 이용한 구조물로 전 면벽,
좌측벽, 우측벽 3면을 등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숲이 울창해 한여름에도 쾌적하게
등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는 등반자 를 보호하기 위해 고탄력 고무매트리스
를 깔았고, 야간등반을 위해 특수조명 20여 개를 설치해 놓았다.
세번째 침봉인 어미바위는 올 6월 필자와 함께 윤재학(코오롱등산학교 대표강사 ·한등회),
김용기(<실전암빙벽교실> 저자·엠씨산악회), 이재하(한국등산학교 고문 강사·한등회원),
전경중(울릉산악회 회장), 최희찬(울릉산악 회 총무), 한광열씨(울릉산악회 등반대장)
이경태(울릉산악회), 등 8명이 초등했다. 비교적 크랙이 잘 발달해 있고 암질도 양호하며
등반성이 매우 높다. 삼선암을 등반할 때는 반드시 울릉산악회의 협조를 받아야 한다.
우선 접근을 위해 이곳에는 보존가치가 대단히 높은 희귀성 향나무가 자생하고 있어 자칫
인근 주민들에게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 접근하려면 장군바위 접근로와 동일
하게 도동항에서 섬목까지 배를 이용 한 후 선창까지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울릉도 3대 절경 중 제1경인 삼선암은 3개의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아름
다운 바위섬이다.
맑은 물과 빼어난 주변 경치에 도취된 세 선녀가 하늘로 올라갈 시간을 놓
쳐 옥황상제의 노여움을 사서 바위로 변했다는 전설을 지니고 있는 바로,
묘하고도 기묘한 형상을 지니고 있다. 삼선암은 바다에서 하늘을 향해 수
직으로 곧게 솟아오른 침봉 으로 등반가라면 한 번쯤은 오르고 싶은 유혹
을 받을 수밖에 없는 바위다.
그러나 장군바위에서 약 150m 떨어진 석포 앞 바다에 솟아 있어 접근하
려면 배나 고무보트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장군바위쪽에서 보면 삼선암 중 2개의 침봉이 나란히 있으며 천부동쪽으
로 약간 먼 곳에 외로이 일선암(일명 가위바위)이 솟아 있다.
일선암은 아들바위라고도 부르는데, 대구 왕골산악회가 1978년 송곳봉
등반시 함께 개척했다. 아비바위라 부르는 두번째 침봉은 비교적 난이도가 쉬워 오래 전 부근 주민들이 올라갔다고 한다.
ㅁ 도동항 좌안벽
울릉도에 도착하면 첫발을 내딛게 되는 항구인 도동항 바로 앞에 위치 한 좌안 암벽에는
3개의 루트가 있는데, 그 너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수많은 루트들이 개척될 수 있는 무한
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기존 루트들은 누구나 쉽게 등반할 수 있는 비교적 쉬운 루트들이지만, 등반시 주위의 관
광객들이 낙석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특히 화산재처럼 암질이 약한 현무암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을 고려해 초크가루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곳 암질은 마찰력이 대단히 우수하고 대부분
의 홀드가 움푹 파여져 있는 포켓형태이기 때문
에 굳이 초 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ㅁ 남통터널
울릉도 최대의 오버행 암벽으로 고난도
루트를 개척할 수 있는 곳이다.
도동에서 남양을 향하다가 남통터널을
지나자마자 좌측에 거대한 오버행 암벽
을 볼 수 있다.
이 암벽을 남통터널 암벽이라 일컫는다.
높이 약 60m, 오버행 길이 약 20m로 자유
등반을 시도할 수 있는 암벽으로, 울릉도
에서 5,14급 루트를 개척 된다면 이 벽에
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암질은 단단한 편이며 우천 시에도 등반
할 수 있을 정도의 거대한 천장으로 형성
되었다.
울릉도로 가는 배편 요금 안내
여객선 유의사항
- 기상변화에 따라 운행시간이 조정될 수 있으니 출발 전 반드시 문의 바랍니다.
- 연휴나 여름성수기에는 1일 2왕복으로 운항횟수가 증편되기도 합니다.
- 차량 및 화물승선은 포항에서만 가능합니다.
- 울릉도는 LPG충전소가 없으므로 LPG 차량을 가져오시면 안됩니다.
대하여객 최신시간표
-정기운행 시간표(년중)
향 로 |
선명 |
승선인원 |
육지출항 |
울릉출항 |
운행횟수 |
소요시간 |
포항 - 울릉(도동) |
썬플라워호 |
920명 |
10:00 |
15:00 |
1일 1왕복 |
3시간 |
묵호 - 울릉(도동) |
한겨레호 |
445명 |
10:00 |
17:30 (독도운항시) |
부정기 |
2시간30 |
묵호 - 울릉(도동) |
씨플라워호 |
423명 |
09:00 |
17:30 (독도운항시) |
부정기 |
3시간 |
- 요금안내 (단위:원)
향 로 별 |
등 급 별 |
포항 - 울릉 |
묵호 - 울릉 | |||||
썬플라워호 |
한겨레썬플라워(대체선) |
한겨레 |
썬플라워 | |||||
출항 |
입항 |
출항 |
입항 |
출/입항 |
출/입항 | |||
우 등 |
일 반 |
64,400 |
62,900 |
53,500 |
56,100 |
53,500 |
53,500 | |
중.고등학생 |
58,150 |
56,650 |
52,000 |
50,500 |
48,150 |
48,150 | ||
만2-12세 |
32,200 |
31,450 |
28,800 |
28,050 |
26,750 |
26,750 | ||
장애인(1-3급) |
32,950 |
31,450 |
29,550 |
28,050 |
26,750 |
26,750 | ||
만65세이상 |
51,850 |
50,350 |
46,400 |
44,900 |
42,800 |
42,800 | ||
울릉 주민 |
일 반 |
18,250 |
18,250 |
14,500 |
14,500 |
15,950 |
15,950 | |
소아(만2-12세) |
8,050 |
7,450 |
5,550 |
5,550 |
6,650 |
6,650 | ||
장애·경로(만65세 이상) |
8,050 |
7,450 |
5,550 |
5,550 |
6,650 |
6,650 | ||
1 등 |
일 반 |
58,800 |
57,300 |
52,500 |
51,000 |
49,000 |
49,000 | |
중.고등학생 |
53,050 |
51,550 |
47,400 |
45,900 |
44,100 |
44,100 | ||
만2-12세 |
29,400 |
28,650 |
26,250 |
25,500 |
24,500 |
24,500 | ||
상이7급 장애인(1-3급) |
30,150 |
28,650 |
27,000 |
25,500 |
24,500 |
24,500 | ||
만65세이상 장애인(4-6급) |
47,350 |
45,850 |
42,300 |
40,800 |
39,200 |
39,200 | ||
울릉 주민 |
일반 |
5,000 |
5,000 |
4,800 |
4,800 |
5,000 |
5,000 | |
소아 (만2-12세) |
4,650 |
4,650 |
3,000 |
3,000 |
4,400 |
4,400 | ||
장애·경로(만65세 이상) |
4,650 |
4,650 |
3,000 |
3,000 |
4,400 |
4,400 | ||
단체할인요금 |
일 반 단 체 (20명이상) |
53,100 |
51,600 |
47,400 |
45,900 |
44,100 |
44,100 | |
중.고등학생 (20명이상) |
47,350 |
45,850 |
42,300 |
40,800 |
39,200 |
39,200 |
※ 할증요금(성수기 및 연휴) : 묵호(우등- 58,850원, 일등- 53,900원)
포항우등(출항- 70,700원, 입 - 69,200원), 일등(출항- 64,550원, 입항- 63,050원),
대아여객 문의전화 (홈페이지 http://www.daea.com) |
포항여객선터미널(대아본사) ☎ 054) 242-5111~5 FAX : 054) 242-3200 |
서 울 대아여행사 ☎ 02) 514-6766 FAX : 02)515-7223 |
묵호여객선터미널 ☎ 033)531-5891 FAX : 033)531-5893 |
울릉여객선터미널 ☎ 054)791-0801~3 FAX : 054)791-4053 |
음성자동안내ARS ☎ 054)791-4811~3 |